[메디컬옵저버] 다발골수종, 자가조혈모세포이식은 표준치료, 부설판+멜팔란 기반 전처치요법이 효과적다발골수종, 자가조혈모세포이식은 표준치료, 부설판+멜팔란 기반 전처치요법이 효과적
부설판+멜팔란 병용 멜팔란 단독대비 무진행생존기간 우수
다발골수종(multiple myeloma)은 주로 고령에서 발생하는 혈액암으로, 항체를 만드는 형질세포가 암이 되면서 골수에서 증식하는 질환이다. 국내에서는 다발골수종 환자가 1년에 약 2000명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며, 인구 고령화에 따라 유병률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다발골수종은 재발률이 높아 완치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어 환자의 생존기간을 늘리는 것이 치료목표라고 볼 수 있다.
한편 다발골수종은 △관해유도항암요법 △조혈모세포이식 △유지요법을 일련의 치료과정으로 하고 있다. 특히 조혈모세포이식 전에는 전처치요법으로 고용량 항암제를 투여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 과정은 추후 자가조혈모세포이식 결과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전처치요법 약제의 역할이 중요하다. 전처치요법에서는 멜팔란(melphalan)이 표준으로 사용됐지만, 최근 멜팔란+부설판(busulfan) 병용요법이 무진행생존기간(progression-free survival, PFS)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이며 부설판의 역할이 재조명되고 있다.
부설판은 과거 경구용 항암제로 개발돼 효과는 좋았지만 간독성 문제로 주목받지 못했다. 하지만 부설판이 주사제로 나오면서 간독성은 줄이고 멜팔란과 병용으로 새로운 역할을 모색한 것이다. 연세의대 김진석 교수(세브란스병원 혈액내과)를 만나 최근까지도 다발골수종을 정복하기 위한 표적치료제 등 신약개발이 치열하게 이뤄지는 시점에서 부설판의 임상역할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들어봤다.
(후략)
기사출처 : 메디칼업저버 정연주 기자 (https://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16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