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의사] "혈액암 신약 급여 지연으로 생존 위협받는 환자들""혈액암 신약 급여 지연으로 생존 위협받는 환자들"
혈액학회, 급여 심사기준 개선 및 혈액암 심의기구 신설 요구
정부가 최근 혈액암 치료 분야에 개발된 이중특이항체 신약들의 급여 신청을 잇따라 거부하면서, 국내 혈액암 환자들의 생존권 침해 우려가 제기됐다.
대한혈액학회는 혈액암 질환의 특수성을 반영한 급여 심사기준 개선을 요구하며, 현재 고형암 위주로 운영되고 있는 암질환심의위원회(이하 '암질심')가 아닌 별도의 혈액암 전문 심의 기구가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대한혈액학회(이하 학회)는 지난 27일 '2025년 대한혈액학회 국제학술대회(ICKSH 2025)' 기자간담회에서 국내 혈액암 환자들의 치료 접근성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이날 임호영 학술이사(전북대병원 혈액종양내과)는 '컬럼비(성분명 글로피타맙)'와 '엡킨리(성분명 엡코리타맙)', '텍베일리(성분명 테클리스타맙)', '엘렉스피오(성분명 엘라나타맙)' 등 혈액암 치료 분야에 개발된 이중특이항체 신약들의 급여 지연 현황을 지적했다.
임 학술이사는 "학회는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혈액암 치료제 개발의 흐름 속에서 건강보험 급여 지연으로 인해 다발골수종, 림프종 및 급성 백혈병을 비롯한 혈액암 환자들의 치료 접근성이 현저히 제한되고 있는 현 상황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한다"며 "특히, 반복적인 재발이나 불응성 질환 상태로 인해 사용할 수 있는 치료 옵션이 제한돼 있는 환자들에게 혁신 신약을 사용하지 못하는 현실은 환자들의 생존 기회를 위협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후략)
기사 출처 : 청년의사 김윤미 기자 (https://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27159)